ESP사의 와이파이모듈인 ESP-12s 에 sdk 설치 및 개발환경 구축하는 법을 알아본다
uart연결은
Prolific USB-to-Serial TTL( PL-2303HX )
https://github.com/espressif/ESP8266_RTOS_SDK
GitHub - espressif/ESP8266_RTOS_SDK: Latest ESP8266 SDK based on FreeRTOS, esp-idf style.
Latest ESP8266 SDK based on FreeRTOS, esp-idf style. - GitHub - espressif/ESP8266_RTOS_SDK: Latest ESP8266 SDK based on FreeRTOS, esp-idf style.
github.com
공식홈페이지를 따라 진행해본다
우선 필요한 터미널이 있다
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mingw/
MinGW - Minimalist GNU for Windows
Download MinGW - Minimalist GNU for Windows for free. A native Windows port of the GNU Compiler Collection (GCC) This projec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o osdn.net/projects/mingw, you can continue to follow us there. MinGW: A native Windows port of the G
sourceforge.net
앞으로의 모든 진행은 해당 터미널에서 진행한다
별도로 변경하지 않았다면
C:/msys32/ 폴더에 설치가 되었을 것이다.
mingw32.exe를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하자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espressif/ESP8266_RTOS_SDK.git
원하는 폴더에 프로젝트를 다운받자
다 받았으면 해당 윈도우 폴더에서 install.sh 를 더블클릭
esp8266용 toolchain 이 c/사용자/{사용자이름}/.espressif 폴더에 설치되었을 것이다.
만약 설치되지 않았다면 github에서 직접 toolchain을 다운받은 후 path를 추가해주어야 한다.
source export.sh
위 명령어를 치면, idf 개발환경에 필요한 path들이 $PATH 환경변수에 추가된다.
이 작업은 터미널을 새로 실행할 때 마다 진행해주어야 한다.
이제 준비는 다됐다.
원하는 예제 폴더에 가서 sdkconfig 설정 수 진행하면 된다.
첫 예제 국룰인 hello world를 실행해보자
/example/get-started/hello_world
터미널에서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
make menuconfig
설정하는 창이 뜬다.
여기서 지정해줄 것은 PORT 뿐
Serial flasher config -> Default serial port -> [장치관리자에서 확인한 포트]
저장하고 나오면 된다
빌드 : make all
flash : make flash
모니터링 : make monitor
문제없이 잘 왔다면 정말 운이 좋았을 것이다....
자잘자잘한 오류가 많이 날 수도 있지만, 그게 개발자의 운명이자 길인거겠지유?
궁금하신사항은 질문주세요~
댓글